금테 크란? 경제가 불안할 땐 안전자산 금 테크 생각이 난다
요즘 들어 신문에서 금 얘기를 빈번하게 봤다.
공통적으로 기사에서 언급되는 내용은, 인플레이션 추세가 보이고 금융 시장이 불안해지면서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‘금'에 대한 관심은 반사적으로 높아진다는 것이다.
- 최근 선진국 소비자 물가가 3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
-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갈등 우려로 안전자산 선호 심리 우세해 짐
- 골드만삭스는 올 들어 이달 초까지 금 ETF를 통해 금 매입량이 57t(톤) 늘었고, 올해 순매수량은 600t에 달하는 ‘골드러시’가 일어날 수 있다고 전망함
- 그러나 결국 성장 전망이나 금리, 미 연방준비제도의 정책 등 거시적 동력에 금값이 다시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예상도 있음
한국금거래소 금 가격 추세
- 국내 금 시세는 기준 3.75g당 31만 2500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3월 말(26만 6500원)보다 17% 넘게 오름
금 투자 방법
- 골드바 구매, 금 ETF, 금통장, 금펀드, KRX 금시장 등의 투자 방법이 있음
- 안전 자산의 개념으로 접근한다면 골드바를, 중장기 투자목적이면 골드뱅킹이나 금펀드가 적합
방식 | 현물 보유 | 소액투자 가능여부 | 수수료 및 세금 | 주의사항 |
골드바 구매 | 보유 | 불가능 | - 유통수수료 약 6% - 부가가치세 10% |
- 수수료 확인 - 순도 확인 |
KRX 금시장 | 보유 | 가능 | - 장내거래시 수수료 약 0.3% - 실물인출시 개당 약 2만원 -장내거래 시 매매차익 비과세, 실물인출 시 부가가치세 10% |
1g 단위로 주식처럼 사고 팔 수 있음 |
은행 금통장 | 보유 | 가능 | - 거래수수료 약 1% -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.4% |
|
금 펀드 | 보유 안함 | 가능 | - 선취수수료 약 1~1.5% -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.4% |
|
금 신탁상품 | 보유 안함 | 가능 | -신탁보수 약 1% - 장내거래 매매차익 비과세 - 실물인출 시 부가가치세 10% |
|
금 ETF | 보유 안함 | 가능 | - 매매차익에 15.4% 배당소득세 - TIGER 골드 선물 - KODEX 골드 선물 |
선물 ETF는 파생상품이라 금 가격을 100% 반영하지 않음 |
금 투자 방법별 장단점
장점 | 단점 | |
가장 직관적인 투자 방식. 실물을 보유할 수 있음 | 골드바 구매 | 살 때 부가가치세 10% 및 수수료 5% 부과 등 거래비용 큼 |
거래 수수료가 0.3%로 저렴하고 양도/배당소득세 없음 | KRX 금시장 | 실물 인출 시 부가가치세 10% 및 별도 인출 비용 불과 |
0.01g 단위 매매가능해 소액투자 가능, 거래 간편 | 은행 금 통장 | 거래 수수료 1%,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 15.4% 부과 |
증권사 계좌만 보유하면 매매가 편하고 수수료가 싼 편 | 금 펀드, 금 선물 ETF | 선물 가격 추종 펀드가 많아 시세 변동성이 실물 금 보다 큼 |
금을 투자하는 방향성 설정에 앞서
- 전문가들은 단기 차익을 얻기 보다는 포트폴리오 다변화, 장기 투자를 위한 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 함
- 포트폴리오의 10%가량을 안전자산으로 운용하는 게 좋다는 관점에서 꾸준히 매수하길 추천
- 현재는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에 시세가 떨어질 때마다 분할 매수하는 것을 추천
'단기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제유가란? 최근 국제유가 동향(2022-03-05) (0) | 2022.03.06 |
---|---|
금융회사란? 은행, 증권사, 금융투자회사 등 차이점 (0) | 2022.03.02 |
절세형 만능통장 ISA란? ISA 종류 및 장점(손익통산, 절세 효과) (0) | 2022.02.23 |
세액 공제를 위해 연금저축 가입 시 고려해야 할 사항! (0) | 2022.02.23 |
2022년 2월 18일 경제 신문 기사.. 조금씩 보이기 시작한다! (0) | 2022.02.2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