예금의 종류 및 은행별 예금 이자 비교
예금의 종류
- 요구불예금과 저축성 예금으로 나뉨
[요구불예금]
- 보통예금
- 입출금이 자유로움
- 예치 금액에 제약이 없음
- 언제든 돈을 넣고 뺄 수 있음
- 요구불예금에 속하고 이자는 낮은 편
- 당좌예금
- 개인이 아닌 기업이 사용하는 예금
- 은행이 예금자를 대신해 수표나 어음으로 입출금 해 줌
- 기업 운영에 필요한 자금 보관과 위탁이 주목적
- 시장 금리부 수시입출식 예금(MMDA)
- 은행이 단기 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여기서 나오는 이자를 지급
- 일반 예금보다 이자가 좀 높음
- 외화 보통예금
- 원화 대신 달러나 유로화, 엔화 등 외화를 사서 예금하는 것
- 환차익이 주목적
- 환율 올라가면 수익이 나고, 환율이 떨어지면 손해를 보는 구조
[저축성예금]
- 거치식 예금(정기예금)
- 예금자가 은행에 돈을 빌려 주는 것. 은행이 그 돈의 사용료(이자)를 지급해야 함
- 적립식 예금(적금)
- 일정 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입금하고 이자를 받는 상품
예금 상품 금리 비교
- 전국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서는 내가 원하는 조건을 필터에 설정한 뒤 은행 간 이자를 비교해 볼 수 있음
- 홈>금리/수수료 비교공시>예금상품금리비교>예금금리
- 아래와 같이 이자 계산방식을 단리로 하고, 스마트뱅킹에 한정 된 전체 은행 간 예금금리를 비교할 수 있음
https://portal.kfb.or.kr/compare/receiving_deposit_3.php
'단기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앙은행 디지털화폐(CBDC)란? 중국의 DCEP 진행 과정 (0) | 2022.03.17 |
---|---|
예대금리차란? 최근 국내 금리 인상 기조에 따른 예대금리차 동향 (2022-03-15) (0) | 2022.03.15 |
증권이란? 주식과 채권의 차이 (0) | 2022.03.14 |
재무제표란? 초보 눈높이에서 이해하는 재무제표 - ROE, PER, PBR, EPS 등 (0) | 2022.03.13 |
주식 배당이란? 배당주 고를 때 고려할 점! (0) | 2022.03.12 |
댓글